의료기기 등급 분류
의약품 및 의료기기는 다른 분야와 다른 규제와 정책이 있는 특별한 분야이다.
그 중에서도 의료기기는 사용 목적과 사용 시 인체에 미치는 잠재적 위해성의 정도에 따라 4개의 등급으로 분류된다.
* 잠재적 위해성에 대한 판단기준
① 인체와 접촉하고 있는 기간
② 침습의 정도
③ 약품이나 에너지를 환자에게 전달하는지 여부
④ 환자에게 생물학적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로 구분된다.
=> 등급 분류
1등급 : 잠재적 위해성이 거의 없는 의료기기
2등급 : 잠재적 위해성이 낮은 의료기기
3등급 : 중증도의 잠재적 위해성을 가진 의료기기
4등급 : 고도의 위해성을 가진 의료기기
**만약 두 가지 이상의 등급에 해당된다면 가장 높은 등급으로 분류한다.
의료기기 등급이 높을 수록 사용에 조금 더 주의가 필요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.
예를 든다면, 인공관절의 경우 3등급 의료기기이며, 체외 교정기(목디스크, 발가락 등)는 1등급 의료기기로 볼 수 있다.
1등급 의료기기는 의외로 생활 곳곳에서 발견할 수 있다. 콘택트 렌즈, 콘돔이 그 경우에 해당된다.
등급이 높을 수록 인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가 크기 때문에 그 만큼 식약처에서 요구하는 서류 수준 또한 높다.
일반인의 생활 속에서 의료기기 등급을 분류할 상황은 없겠지만, 한국에서 의료기기 관리를 위한 체계가 상당히 갖추어 있음을 알 수 있다.
생활 속에서 생각보다 가까이 있는 의료기기를 발견해 보는 것도 색다른 경험이 될 수 있을 것 같다.

'생활 속 의료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의료기기 UDI 도입 (1) | 2021.04.13 |
---|---|
얌센의 미국 일부 지역의 접종 중단 - 식약처와 FDA의 결정 (0) | 2021.04.11 |
치료비 중 급여/ 비급여 (3) | 2021.04.06 |
병원의 분류 (1차, 2차, 3차 병원) (0) | 2021.04.06 |
생활 속 의료 관련 이야기 (0) | 2021.04.05 |